분류 전체보기 381

2022년 10월 2주차(10/10 ~ 10/14) Weekly I Learned "조급하지 않게 천천히"

지난 한 주 되돌아보기 데이터센터 화재 이슈로 WIL 작성이 늦어졌다. 😅 시간이 얼마나 지났다고 벌써 지난 한 주(10월 2주차)에 무엇을 학습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긴 하지만.. 나름대로 어떤 것을 학습했는지 키워드를 되살려보면서 작성하고자 한다. CS 공부 삼매경 (미리 좀 할 걸...) 10월 1주차에 이어서 10월 2주차에도 CS 공부를 집중적으로 했고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라는 책을 완독할 수 있었다. 한 권의 책으로 디자인 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등에 다루기 때문에 아무래도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자세한 설명이 부족했지만, CS 핵심 키워드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간략한 설명으로나마 어느정도 흐름을 잡을 수 있었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디자인 패턴, 네트..

2022년 10월 1주차(10/3 ~ 10/7) Weekly I Learned "꾸역꾸역 학습하기"

지난 한 주 되돌아보기 이번 한 주의 월요일은 공휴일(개천절)이었다. 현재 나는 직장인은 아니지만, 예전 3년간의 직장 경험 때문인지 몰라도 월요일 당일 이상하게 쉬어야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지난 추석 연휴 때도 마찬가지였다. 😅) 아무쪼록 이런 와중에 꾸역꾸역 학습을 이어나가려고 노력했었던 한 주였다. 👀 면접 대비 CS 학습! 아직 부족한 점은 많지만 알고리즘 학습은 어느정도 되었다고 생각하기에, (그래도 하루에 2문제 이상은 풀려고 한다.) 이제는 CS 학습 시간 비중을 좀 더 늘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CS 학습은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책을 읽고 있는 수준이기에, 이외에도 네트워크 ,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해서도 학습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래서 이번 주에 보기 시작한 책은 "..

애노테이션을 정의하는 방법과 메타 애노테이션의 종류

해당 글은 자바에서 애노테이션을 정의하는 방법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애노테이션들 중 메타 애노테이션에 대해 다루는 글로, 자바에서 사용되는 애노테이션에 대한 기초 개념과 표준 애노테이션에 대해선 아래 글을 참고할 수 있다. Java의 애노테이션(Annotation) 기초 잠깐! 알쓸신잡, Annotation의 한글 표기법 : 애노테이션? 어노테이션? ※ TMI : Method → 메소드 X, 메서드 O 애노테이션이란? 애노테이션의 사전적인 뜻은 '주석'으로서 소스 코드의 동작에 직접적인 ikjo.tistory.com 애노테이션을 정의하는 방법 앞서 애노테이션 기초를 다룰 때에는 단순히 자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표준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다루었는데, 이번에는 애노테이션을 직접 정의하는 ..

Technology/Java 2022.10.11

Java의 애노테이션(Annotation) 기초

잠깐! 알쓸신잡, Annotation의 한글 표기법 : 애노테이션? 어노테이션? ※ TMI : Method → 메소드 X, 메서드 O 애노테이션이란? 애노테이션의 사전적인 뜻은 '주석'으로서 소스 코드의 동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메타데이터(metadata)의 한 형태로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애노테이션은 다른 프로그램을 위한 정보로서 해당 프로그램에 미리 정의된 종류와 형식으로 작성된다. Annotation vs Comment 앞서 애노테이션의 사전적인 뜻은 '주석'이라고 언급했는데, 참고로 일반적으로 우리들에게 '주석'이라고 하면 // ~ 또는 /* ~ */ 와 같이 소스 코드에 대한 부연 설명을 나타내는 것(컴파일러는 이를 무시한다.)을 떠올릴 수 있다. 사..

Technology/Java 2022.10.09

@SafeVarargs 언제 사용할까?

Java 5, 제네릭(generic)와 가변인자(varargs)의 등장 Java 5부터는 제네릭(Generic)과 함께 가변인자(Variable arguments, varargs라고도 함)가 등장했다. 기존 메서드의 매개변수 개수는 고정적이었지만, 가변인자 덕에 동적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었는데, 가변인자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이용하므로, 가변인자가 선언된 메서드가 호출될 때마다 새로운 배열이 생성된다. 이때 매개변수로 가변인자가 선언된 메서드는 매개변수로 배열이 선언된 메서드와 달리 인자를 생략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제네릭과 가변인자 혼용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그렇다면 제네릭과 가변인자를 함께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List이라는 매개변수화 타입(parameterized type)의 가변인..

Technology/Java 202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