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81

2022 마스터즈 코스(백엔드) 91일차 회고(2022. 5. 23.) - "네 번째 팀 프로젝트 시작"

해당 글은 코드스쿼드 2022 마스터즈 코스 "Java 웹 백엔드" 과정을 수강하면서 학습한 내용 등에 대한 회고 글입니다. :) 수강 회고 1주일이라는 방학과 2주일이라는 개인 학습 정리 주간이 모두 끝나고 드디어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신기하게도 이번 팀 프로젝트 역시 프론트 엔드 팀원들과 함께 합을 맞추게 되었다. 뭔가 이번 마스터즈 코스 과정은 프론트 엔드 팀원 분들과 연이 있는 것 같다. 이번 팀 프로젝트 미션 요구사항을 봤는데, JPA, JWT, VPC, Docker 등 이전 팀 프로젝트에서 한 번도 다루지 않았었던 기술들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앞으로 상당한 난관이 있을 걸로 예상이 된다. 😂 그래도 다행인 건 2주라는 시간 동안 진행했던 지난 팀 프로젝트와 달리 이번 팀 프로젝트는 ..

[프로그래머스] 다리를 지나는 트럭 - Java

문제 설명 코딩테스트 연습 - 다리를 지나는 트럭 트럭 여러 대가 강을 가로지르는 일차선 다리를 정해진 순으로 건너려 합니다.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알아내야 합니다. 다리에는 트럭이 최대 bridge_length대 올라갈 programmers.co.kr 접근 방법 해당 문제는 큐(Queue)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문제에 따르면 트럭의 상태는 "대기 트럭"과 "다리를 건너는 트럭" 그리고 "다리를 지난 트럭"으로 나뉩니다. 이때 각각의 트럭의 상태들을 관리할 큐 자료구조를 만들어 줍니다.("다리를 지난 트럭"에 대한 큐 자료구조는 별도로 만들 필요없습니다.) 이후 다리를 건널 수 있는 조건(무게와 트럭 대수)을 충족 하는 경우 "대기 트럭을 담은 큐"에서..

2022 마스터즈 코스(백엔드) 90일차 회고(2022. 5. 20.) - "2주간의 개인 학습 정리 주간 정산"

해당 글은 코드스쿼드 2022 마스터즈 코스 "Java 웹 백엔드" 과정을 수강하면서 학습한 내용 등에 대한 회고 글입니다. :) 수강 회고 2주간의 개인 학습 정리를 모두 마치며... 오늘로 벌써 2주간의 개인 학습 정리 주간이 모두 종료되었다. 개인 학습 정리 주간이 시작하기 전(정확히는 방학을 하기 전) 이후에 있을 팀 프로젝트를 위해 나름 야심차게 이거 해야지 저거 해야지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결론적으로 절반도 하지 못했었던 것 같다..💦 (나의 이상과 현실간에 괴리가 상당히 크다...😅) 아무쪼록 이번 개인 학습 정리 주간을 마치면서 지난 2주간에 학습했었던 내용들을 정산하고자 한다. 이번 2주차 위클리 스케줄 역시 지난 1주차 위클리 스케줄과 동일하게 JPA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베이스를 중점..

2022 마스터즈 코스(백엔드) 89일차 회고(2022. 5. 19.) - "시스템 속에서 살아가기"

해당 글은 코드스쿼드 2022 마스터즈 코스 "Java 웹 백엔드" 과정을 수강하면서 학습한 내용 등에 대한 회고 글입니다. :) 수강 회고 벌써 내일이면 지난 2주간의 개인 학습 정리 주간이 모두 종료된다. 방학하기 전에는 방학이라는 1주일 시간과 개인 학습 정리주간이라는 2주일 시간 총 3주라는 시간 동안 개인 학습을 통해 그동안 부족하다고 생각했었던 부분들을 보충 학습하고 새로운 기술들에 대해서도 학습하는 등 나름 야심찬(?) 포부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실은 그닥 녹록치 않았다. 처음 가졌었던 열정(?)은 방학 첫 주간부터 무너졌고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방학 전까지 고생했던 나를 위해?) 학습 외에 다른 것들에 손이 갔다. 이번 개인 학습 정리 주간에 위클리 스케줄을 작성한 것이 그래도 많은 ..

[백준 - 1987] 알파벳 - Java

문제 설명 1987번: 알파벳 세로 R칸, 가로 C칸으로 된 표 모양의 보드가 있다. 보드의 각 칸에는 대문자 알파벳이 하나씩 적혀 있고, 좌측 상단 칸 (1행 1열) 에는 말이 놓여 있다. 말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네 칸 중의 한 칸으 www.acmicpc.net 풀이 회고 해당 문제는 DFS(깊이 우선 탐색)을 이용하여 풀 수 있었습니다. 깊이 우선 탐색을 통해 (0, 0) 지점에서 출발했을 때 탐색할 수 있는 모든 경로에 대해 탐색 종료 시의 이동한 칸 수를 검사하여 이들 중 가장 이동을 많이 한 횟수를 구하도록 했습니다. 다만, 이 문제의 경우 기존 깊이 우선 탐색이랑 다르게 접근했었던 방식이 있는데, 우선 별도의 방문 처리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경로에 대해 검사해야하기 때문..

Algorithm/BOJ 2022.05.19